윈도우 디펜더 (Windows Defender) 끄기
각종 바이러스와 랜섬웨어를 근절하기 위해 윈도우 환경에서 기본적으로 작동되는 백신 윈도우 디펜더.
하지만 뭐만 실행하려고 하면 윈도우 디펜더의 기능 중 '스마트 스크린'이 발동되어 수많은 이용자에게 불편을 겪게 하며
일부 정상적인 파일을 바이러스로 오인하는 등 여러모로 귀찮은 상황에 직면하기도 합니다.
또 윈도우 디펜더 프로세스인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 기능이
메모리와 CPU 점유율을 크게 가져가 컴퓨터 이용에 큰 지장을 주는데요.
매우 간단한 두 가지 방법으로 윈도우 디펜더를 비활성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먼저 좌측 하단 작업표시줄 돋보기 아이콘(검색)을 누른 뒤 '바이'를 입력 후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탭을 누릅니다.
▼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 아래에 있는 설정 관리를 누른 뒤 '실시간 보호'를 끔으로 설정합니다.
▼ 다음으로, 좌측 '앱 및 브라우저 컨트롤 탭' 클릭 후 '앱 및 파일 검사', 'Microsoft Edge용 SmartScreen' 을 끄기로 설정합니다.
이제 윈도우 디펜더의 골칫거리 '스마트스크린' 기능과 '실시간 감시'는 꺼졌다.. 하지만 완벽하게 윈도우 디펜더를 종료시키려면?
아래 방법은 윈도우 디펜더를 완전히 중지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방법을 사용 시 바이러스 및 랜섬웨어에 무방비 노출될 수 있으니, 타 백신 하나 정도는 설치하여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주로 윈도우 디펜더의 서비스인 'Antimalware Service Executable'가 CPU, 메모리 점유율이 급등하여 문제가 생길 때 이 방법을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 작업표시줄 검색창에 'gpedit.msc'를 적어 상단의 파일을 클릭합니다.
▼ '관리 템플릿'을 클릭합니다.
▼ 'Windows 구성 요소'를 클릭합니다.
▼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을 클릭 후 우측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사용 안 함'을 더블클릭하거나 우측 클릭 후 편집을 눌러줍니다.
▼ 좌측에 '사용'으로 변경 뒤 '확인'을 눌러줍니다.
이로써 윈도우 디펜더(Windows Defender)를 완전히 사용 중지시키는 법을 알아 보았습니다.
해당 방법을 사용하신다면 더이상 스마트 스크린 물음 창과 윈도우 디펜더 프로세스의 CPU/메모리 점유율 문제는 발생되지 않을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XD
'윈도우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윈도우) 화면 캡쳐 - 별도 프로그램 없이 초간단 캡처하기 (1) | 2020.05.12 |
---|---|
어도비 포토샵 CS2 작동 중지 팅김 오류 (하얀 화면) 해결 방법 (1) | 2020.04.21 |
msvcp140.dll 오류 - 다운로드 및 오류 해결 방법 (1) | 2020.04.03 |
vcruntime140.dll 오류 - 다운로드 및 오류 해결 방법 (0) | 2020.04.02 |
윈도우 업데이트 끄기 - 20초만에 끄는 방법! (0) | 2020.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