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지텍 G Hub (지허브) 마우스 드라이버 다운로드 및 사용법
마우스하면 로지텍, 로지텍하면 마우스가 떠오를 만큼
마우스 분야의 대부, 로지텍입니다.
로지텍 마우스의 거의 모든 G 시리즈 제품들은 자사의 마우스 소프트웨어를 지원하고 있는데요.
마우스 드라이버는 설치를 안하여도 작동에는 문제는 없으나
설치 시 마우스의 감도(dpi) 세부 조정, 마우스 보고율 조정, 조명 효과 조정, 매크로 설정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 할 수 있게 됩니다.
로지텍 마우스 소프트웨어(드라이버)는 3종이 있습니다.
과거 순으로 SetPoint - 로지텍 게임 소프트웨어 - G Hub가 존재하며,
현재는 SetPoint와 로지텍 게임 소프트웨어는 지원이 종료되고
G Hub로 세대가 교체 된 상황입니다.
하지만 G Hub는 무한 로딩, 갖가지 버그 이슈, 프리셋 온보드 저장 불가, 무거운 리소스 사용량으로 잡음이 꽤나 낀 상황인데요.
그래도 꾸준히 개선과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있으니 좀 더 기다려보면 개선이 이루어질 부분 같습니다.
본론으로!
오늘 소개할 포스트에서는 이 3가지 중 가장 최신 드라이버인 G Hub에 대해 알아보고, 다운 및 사용하는 방법을
간단히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시작해볼까요?

▼ 아래 로지텍 공식 G Hub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https://www.logitechg.com/ko-kr/innovation/g-hub
▼ 'WINDOWS로 다운로드' 를 클릭합니다.

▼ 'lghub_installer.exe'를 눌러 실행합니다.

▼ '설치'를 눌러 드라이버 설치를 끝까지 진행합니다.

▼ 설치 완료 후 로지텍 게임 소프트웨어(구버전 드라이버)를 이미 깔아보셨던 분들은 이런 문구가 뜰 것입니다. 마이그레이션이란 이전 드라이버에서의 데이터들을 G Hub에 옮길 것이냐고 물어보는 의미입니다. '예'를 눌러줍니다.
▼ 설치가 완료되고 각종 도움말을 닫으면 이렇게 연결된 로지텍 기기들이 중앙에 뜨는 UI로 구성된 메인화면이 나옵니다. 저희가 알고 싶은 것은 dpi, 보고율 조정, 매크로 설정 등 기능 설정 부분이니 바로 마우스를 클릭 해 주세요.
▼ 온보드 모드가 켜져있는 상태라면 이 온보드 메모리 모드를 '끄기'로 변경하셔야 기능 변경이 가능합니다. '끄기'로 변경합니다.
▼ 그렇게 되면 이제 기능 설정 화면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LIGHTSYNC' 탭은 조명 관련 효과 변경으로, 마우스의 RGB 조명의 발산 방식을 바꾸거나, 색을 변경할 수도 있고, 끌 수도 있습니다.
▼ '할당' 탭은 마우스 버튼에 명령, 매크로, 임의의 키, 특정한 시스템 명령을 부여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버튼 하나만 누르면 복잡한 명령어와 매크로를 바로 실행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한 기능입니다. 이 기능 하나만 보고 마우스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분들이 있기도 합니다. 매크로 같은 경우 게임에서 복잡한 키를 마우스 버튼 하나로 간단하게 실행하기 위해 많이 쓰기도 하죠.
▼ '민감도(DPI)' 탭은 마우스의 민감도(DPI)나 마우스 보고율을 변경하는 기능입니다. 무엇보다도 DPI를 50단위로 세부 조정이 가능한 것이 장점입니다. DPI 시프트 기능은 다른 DPI를 사용하고 있다가 DPI 시프트 기능이 지정된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바로 임의의 한 DPI로 변경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보고율은 1천으로 해 주시는 게 좋습니다.
이로써 로지텍 G Hub (지허브) 마우스 드라이버 다운로드 및 사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원래 G Hub에서 마우스 설정을 미리 한 후 마우스 온보드에 저장하여 G Hub를 키지 않은 상태에서 G Hub에서 설정한 셋팅 그대로 유지 할 수 있었으나 버그인지 그것이 잘 되질 않네요.
아무쪼록 해당 포스트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윈도우 유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튠즈 (iTunes) 다운로드 및 완벽 삭제법, 간단히 음악 넣기 방법 (0) | 2020.05.03 |
---|---|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 (CS2) 초간단 100% 한글패치! (6) | 2020.04.25 |
MSI Afterburner (애프터버너) 다운 및 사용법 - 게임 프레임 측정, 그래픽카드 오버클럭 (4) | 2020.04.10 |
KMS Auto Net 다운로드와 사용법 - 윈도우 정품인증 툴 (3) | 2020.04.07 |
µTorrent - 토렌트 클라이언트 다운로드 및 사용법 (1) | 2020.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