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이밍 최적화

NVIDIA 제어판 (NVIDIA Control Panel) - 설치 & 최적화 설정 가이드

by ˹ʜᴧɴɴᴧ˼ 2020. 4. 30.

NVIDIA 제어판 (NVIDIA Control Panel) - 설치 & 최적화 설정 가이드

NVIDIA 제어판은 NVIDIA 사에서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화면에 대한 보정&조정 기능과 각종 게임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 관하여 그래픽 관련 옵션을 조정시켜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각종 PC게임을 즐겨하시는 분들이라면 한번 쯤은 만져 보셨을 텐데요.


그런데 간혹 드라이버를 설치해도

바탕화면에서 우클릭을 하여도 NVIDIA 제어판이 보이지 않거나 아예 설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NVIDIA 제어판 개별 설치 방법(윈도우10 한정, 윈도우10 미만은 드라이버 재설치 필요)과

게이머 분들을 위한 NVIDIA 제어판 최적화 설정에 관하여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최적화 설정의 기준은 '인풋렉 최소화'로 잡았습니다.


바로 알아볼까요?





 ▼ 먼저 아래 윈도우 스토어 NVIDIA 제어판 다운로드 링크에 접속합니다.

https://www.microsoft.com/ko-kr/p/nvidia-control-panel/9nf8h0h7wmlt?activetab=pivot:overviewtab




 우측 '무료'를 클릭하여 윈도우 스토어 앱으로 접합니다.




 다시 우측에 '설치'(저는 이미 설치가 되어 실행으로 보임)를 눌러 NVIDIA 제어판을 설치합니다. 설치 전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의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만약 윈도우10 환경이 아니고 마이크로소프트 로그인이 할 수 없는 상황이시라면

현재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삭제 후 재설치하시면 해결됩니다.


아래 두 곳의 제 블로그 링크를 참고하신다면 쉽게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삭제하고 재설치 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안전하게 삭제하기 : 이 곳 참조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간단 설치법 : 이 곳 참조




 이제 NVIDIA 제어판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바탕화면에 마우스 우 클릭 후 NVIDIA 제어판에 접속합니다.




 NVIDIA 제어판의 홈 화면입니다. 우리가 살펴볼 것은 우측의 목록들인데요. 사실 중요한 것은 일부 옵션 뿐이지만 하나하나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첫번째 탭, '미리보기로 이미지 설정 조정' 탭입니다. 건드리시지 않고 바로 3D 설정 관리 탭으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이 탭은 응용 프로그램 설정(게임 내의 옵션)대로 그래픽 설정을 맡길 것인지, NVIDIA 제어판의 그래픽 설정대로 할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마우스 드래그로 성능과 품질간의 옵션을 조절할 것인지 설정하는 탭입니다.




 다음으로 '3D 설정 관리' 탭입니다. NVIDIA 제어판의 존재 이유이며, 가장 중요한 옵션입니다. 설정 기능의 설명에 들어가기 앞서 전역 설정, 프로그램 설정 두 개의 탭에 관해 아래에 짧게 설명하겠습니다.

전역 설정 : 모든 응용 프로그램에 3D 설정 적용
프로그램 설정 : 특정한 응용 프로그램을 지정하여 3D 설정 적용




 이제 기능 설명으로 넘어가겠습니다. 드라이버 버전, 모니터의 사양에 따라 어떤 기능은 없을 수도 있는 점 참고 해주세요. 첫번째로, 'Image Sharpening (이미지 샤프닝)' 옵션인데요. 이 옵션은 키면 소량의 프레임을 희생하는 대신 인게임에서 보다 선명한 화면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제가 이 옵션을 추천하지 '않는' 이유는 일부 게임(콜오브듀티 : 리부트)에서 수풀 및 바닥 텍스쳐가 깨져버리는 이슈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각종 게임 버그 이슈때문에 OFF 추천, 단 게임 화면이 확실히 선명해지기 때문에 좋은 옵션임은 맞고, 키기를 원하신다면 Sharpen값 : 0.5~1.0, Ignore film grain값 : 0.17 그대로를 추천합니다.)



 그 아래 빨간 박스친 부분의 옵션들은 그대로(기본값)설정해주세요. G-SYNC항목은 G-SYNC 미지원 모니터라면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다음은 '수직 동기(V-SYNC)' 옵션입니다. 모니터 주사율보다 인게임 프레임이 높을 때 화면 찢김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 제한을 걸어주는 옵션입니다. (인풋 렉이 있어도 부드러운 화면 원하면 ON, 무조건 인풋렉 최저를 원하면 OFF, G SYNC 모니터라면 ON으로 해주세요.)





 다음으로, 다시 빨간 네모 박스 친 옵션들은 그대로 기본값으로 해 주세요.





 다음은 '저지연 모드' 옵션입니다. 이 모드는 인풋렉을 줄여주지만 프레임 감소가 소량 있습니다. (일반적인 게이머는 '켜기', 오로지 인풋렉 최저를 원하는 게이머는 '울트라', 인풋렉 상관없이 안정적인 프레임을 원한다면 '끄기'로 해주세요.)




 다음은 '전원 관리 모드' 옵션입니다. 어차피 게임을 구동하게 되면 그래픽카드는 최고 성능을 내기 때문에 최적 전원 모드나 최고 성능 선호 모드나 별 차이는 없습니다만 저는 '최고 성능 선호' 모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최적 전원 or 최고 성능 선호 입맛대로)




 마지막 아래 텍스처 관련 부분들은 그대로(기본값) 해주세요. 품질이나 고성능이나 차이가 없습니다.




 다음 탭으로 넘어가서, 'Surround, PhysX 구성' 탭입니다. 간혹 PhysX 설정 프로세서를 GPU로 하면 더 잘된다는 말이 있는데 제가 예전부터 테스트 해 본 결과 두 옵션 모두 다른 점이 전혀 없습니다. 자동 선택(권장)으로 맞춰주세요.




 다음으로 '해상도 변경' 탭입니다. 해상도와 재생 빈도(주사율)을 변경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컬러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 컬러를 사용해도 상관없으나 'NVIDIA 컬러 설정 사용'을 누르고 출력 동작 범위를 '전체'로 해주시면 더 좋습니다.



 다음으로 '바탕 화면 컬러 설정 조정' 탭입니다. 'NVIDIA 설정 사용' 항목을 체크하면 엔비디아 제어판으로 하여금 화면의 밝기/대비/감마, 컬러 채널 등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중요하지 않은 탭을 넘어갔으며, 또 체크해볼 항목은 '바탕 화면 크기 및 위치 조정' 탭입니다. 스케일링 모드에서 '스케일링 없음', 스케일링 수행 항목을 '디스플레이'로 바꾸어 주세요. 인풋렉을 감소시켜 최적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해 줍니다.




 다음으로 '다중 디스플레이 설정' 탭입니다. 이 항목에서는 주로 듀얼 모니터 이상으로 구성되었을 때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사용하려는 모니터들을 활성화/비활성화 할 수 있고 주/보조 모니터를 설정 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비디오 컬러 설정 조정' 탭입니다. 'NVIDIA 설정 사용' 클릭 시 비디오 컨텐츠에 한하여 임의로 컬러와 감마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또 부가적인 팁으로 NVIDIA 설정 사용 - 고급 - 동적 범위를 전체(0~255)로 맞춰 주시면 더 좋습니다.



이로써 NVIDIA 제어판 (NVIDIA Control Panel) - 설치 & 최적화 설정 가이드 포스팅을 해보았습니다.

일부 3D 옵션은 상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드라이버가 구버전이거나 모니터 사양에 따라 없을 수 있습니다.


다음에도 주인장 한나는 여러분들의 윈도우와 관련하여 간단하고 실속있는 알찬 정보를 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해당 포스트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댓글